제품인증이란 각 국 별 기술규제에서 제품 판매 시 요구한 안전인증입니다. 안전, 환경적인 측면에서 일반 대중을 보호해야 하여 안전성이 입증된 제품만 시장 내 유통이 가능합니다. 이 제품인증은 수입자나 제조사가 취득하며, ISO, IEC와 같은 국제표준이 기준이 됩니다.
인증
방법에는 크게 3자인증과 자기적합성인증이 있습니다. 3자인증은
관할당국에서 지정한 인증기관을 통해 인증하는 것이고, 자기적합성인증은 제조사 자신이 인증하는 것입니다. 보통 위험성을 기준으로 고위험 제품은 3자인증 대상이 되고, 위험성이 적은 제품은 자기적합성 인증이 됩니다. 각 국 별 규제에서
제품의 대상을 구분하고 있어, 고위험 제품일 경우 필히 인증기관과 상담하여 인증을 취득해야 추후 규제
위반이나 제조물책임 리스크에서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지역
별로 구분하면, 크게 유럽의 CE인증과 미국의 NRTL 인증으로 양분할 수 있습니다. 두 지역은 국제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커서 인접 지역의 인증 제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ISO, IEC 기반 표준을 사용하는
CE인증은 터키, 영국을 포함한 인접 지역에 영향을 주고
있고, 한국, 중동, 호주, 뉴질랜드 등 지역도 해당 국제표준으로 인증 제도를 도입하여 유사성이 높습니다.
미국의 NRTL인증은 ANSI 표준, ANSI UL표준과 같이 미국 고유의 지역표준을 사용하여 규제하여 IEC, ISO 기반의
국제표준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많은 부분
동조화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미국의 인증제도는 인접국인 캐나다, 남미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인증 제도는 크게 두가지로 양분되고 있어 두 인증을 잘 학습한다면 유사성을 띄는 개별 국의 인증도 모두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과거에는
제품인증이라고 하면 품질만 확인하는 데 그쳤는데, 현재는 설계도 뿐만 아니라, 시험검증 프로세스, 공정 품질까지 제품을 개발하여 검증 및 생산하는
전 주기에 걸쳐 상세한 검토와 실물 검증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인증담당자의 업무 영역이 넓어지게 되어 많은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첨단 기술도 많이 사용됨에 따라 작은 부분이 전체 제품에 영향을 끼치는 부분도 있고, 사회의
안전 눈높이가 높아진 것도 영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에 더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신흥국을 견제하기 위한 비관세 장벽으로 활용되는 측면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